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RIGID BODY_19 COMPLEX 자동차 충돌 - Ep19_Part 06. BEND vs BREAK vs SMALL 지난 강의에서는 body와 trunk를 따로 조합하면서 작업을 진행했다. 이 방법의 장점은 parts별로 충돌에 의해 부러지고 찌그러지는 strength 값을 다르게 적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번에는 부러질 부품, 찌그러질 부품들을 한 번에 묶어서 작업을 진행해 보도록 한다. 찌그러질 부품들에 대하여 먼저 찌그러뜨릴 부품들을 한군데로 모아준다. 지난번에 만들었던 parts_frac_sys 노드를 복사해 와서 적용시켜 준다. 그리고 각각의 부품 중 연결되지 않은 부분과 bottom과의 연결을 위해서 지난 시간 만들어준 내용을 적용해서 constraint를 위한 추가적인 primitive를 만들어준다. 이제 위의 데이터를 가지고 dop network에 넣어주고 시뮬레이션을 진행한다. 부러지는 부품에 대하여.. 더보기
RIGID BODY_19 COMPLEX 자동차 충돌 - Ep19_Part 05. 바디와 트렁크 쌓기 오늘의 목표 main이 되는 body와 trunk를 bottom 위에 올려준다. side mirror, door, 보닛을 달아준다.(다음 강의로...) 목표작업 이전에 해야 할 작업 지난 시간까지 만들어서 이용한 fracture 시스템에 추가적인 보완 작업 진행 서로 연관이 없는 부품들 사이의 constraint를 위한 primitive를 만들어주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작업의 순서 사전작업(main task에서 사용될 것이기 때문에 더욱 중요하다) frac_sys 개선 및 보완 parts_detail 별로 연결되지 않은 물체들 사이에 primitive 자동으로 만들기 main task body_mid, body_rear 달아주기 door, 보닛, side mirror 달아주기 지금 원하는 것은 조각나지 .. 더보기
RIGID BODY_19 COMPLEX 자동차 충돌 - Ep19_Part 04. 하체세팅 + 찌그러짐 세팅 오늘의 핵심 하체 세팅 + 서스펜션 세팅 이제부터는 찌그러지는 것을 염두에 두고 작업을 진행한다. 하체 부품 중 찌그러지는 부위와 찌그러지지 않는 부위가 존재할 수 있는데, 어떻게 구분지을 것인지에 대해 생각해보도록 한다. 이번 작업은 다른 작업에 재활용이 가능한 세팅이 아니고, 이 작업에 특화된, 주어진 자료를 위한 하나의 완벽한 세팅을 추구한다. 누가 더 꼼꼼하게 작업하느냐의 싸움이다. 꼼꼼하지 못하면, 엉성해지게 되고, 결과 또한 별로일수밖에 없다. 하체 세팅과 chassis와 연결해주는 작업이 가장 어려운 작업이다. 하체 세팅이 중요한 이유 간섭 방지 때문 : 하체 세팅을 중심으로 아래쪽에 존재하는 바퀴 + chassis 와 위쪽에 존재하는 자동차 부품들 사이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해줘야한다... 더보기
RIGID BODY_19 COMPLEX 자동차 충돌 - Ep19_Part 03. Fracture System 준비 현재 준비된 자동차의 부품은 상당히 많다. 또한 사이즈도 다양해서 어떤 부품은 매우 크고, 또 어떤 부품은 매우 작다. 그래서 사이즈 분류가 자동으로 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사이즈가 큰 부품들은 voronoi fracture로 쪼개는 과정이 들어가고, 사이즈가 작은 부품들은 쪼개는 과정 없이 바로 proxy 데이터로 변환하게 할 예정이다. 면적을 통해 사이즈를 유추해내면 된다. 물체의 부러짐과 찌그러짐을 묘사하기 위해 결국은 조각을 내야한다. 하지만, 어떠한 요인으로 인해 voronoi fracture가 예쁘게 적용되지 않는 경우가 존재한다. 어떠한 요인 : 물체가 완벽하게 닫힌 물체인가, 아니면 물체의 어딘가가 열려있는 물체인가. voronoi fracture는 기본적으로 닫힌 물체에 대해서 이상적인.. 더보기